소설가 황천우는 우리의 현실이 삼국시대 당시와 조금도 다르지 않음을 간파하고 북한과 중국에 의해 우리 영토가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음을 경계했다. 이런 차원에서 역사소설 <삼국비사>를 집필했다. <삼국비사>를 통해 고구려의 기개, 백제의 흥기와 타락, 신라의 비정상적인 행태를 파헤치며 진정 우리 민족이 나아갈 바, 즉 통합의 본질을 찾고자 시도했다. <삼국비사> 속 인물의 담대함과 잔인함, 기교는 중국의 <삼국지>를 능가할 정도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우리 뿌리에 대해 심도 있는 성찰과 아울러 진실을 추구하는 계기가 될 것임을 강조했다.
“임아상의 군대와 소정방의 군대는 바다를 건너 곧바로 평양성으로 이동할 모양이오. 그러니 평양성을 향해 진군하는 당군은 연정토 장군에게 맡기고 고문 장군과 남생은 압록수로 가서 방효태의 부대를 방어하도록 하시오.”
“요동도로 들어오는 적들은 대감께서 막는다 하고 그러면 루방도와 부여도로 들어오는 적들은 어찌 처리하실 생각이십니까?”
“그는 걱정하지 않아도 되오.”
“묘안이 있습니까?”
일사분란 지시
“그 일은 고연무 장군에게 맡기겠소.”
“소장이 말입니까?”
“당연하오. 지금 즉시 장군은 남건과 함께 회흘부 추장 비속독을 만나시오.”
고연무가 이해되지 않는다는 듯 남건을 주시했다.
“장군, 회흘의 시조가 누구요?”
“회흘의 시조라! 그야 고거.”
고연무가 말을 하다 말고 슬그머니 미소 지었다.
“회흘이 당의 압력으로 어쩔 수 없이 진군하였지만 장군께서 가서 설득한다면 반드시 우리 편으로 돌아설 게요.”
“그들이 쉽사리 동조할까요?”
“들리는 바에 의하면 그들도 겉으로는 내색 못하고 있지만 속으로 당나라에 대해 분개하고 있다 하더이다.”
“하기야 그 오랜 세월 당나라의 속국으로 치욕을 당했으니 이참에 저들도 기회를 포착했다 싶겠네요.”
“그러니 장군이 반드시 저들을 설득하여 당의 후방을 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하온데, 대감.”
“말해보오, 고문 장군.”
“혹여 당나라에서 대감이 이곳을 지키고 있다는 사실을 알면 이리로 침공을 시도할까 하는 생각이 일어나서 그러합니다.”
“지나친 과찬이오.”
고문이 슬그머니 고개를 돌렸다.
“대감, 신라는 가만있을까요?”
침묵을 지키고 있던 뇌음신이 나섰다.
“신라군이라.”
“당나라가 사생결단하려는데 신라군을 동원하지 않을 수는 없지 않겠습니까?”
고연무가 거들고 나서자 연개소문이 미간을 찡그렸다.
“생각해보니 뇌음신 장군의 말이 일리 있소. 아무러면 당나라가 신라에 지원을 요구하지 않았겠소.”
“참으로 한심한 나라로고.”
고문의 말에 가볍게 한탄의 소리를 내지른 연개소문이 뇌음신을 주시했다.
“일전에 칠중성을 친 적도 있고 하니 뇌음신 장군이 신라의 침입에 대비하도록 하오.”
“이 놈들 이번에는 더 아래쪽으로 치고 들어가서 혼쭐 내겠습니다.”
“그런데 군사를 많이 내어 줄 수는 없소.”“그 점은 염려 마십시오.”
“어떻게 처리하려오.”
“가는 길에 말갈족들을 징발해서 가겠습니다.”
말을 마친 뇌음신이 곧바로 칼을 들고 일어섰다.
연개소문이 고연무와 남건으로 하여금 풍부한 물자와 함께 회흘부로 보내고 나자 연개소문의 말마따나 회흘이 당나라와의 연합군에서 빠지면서 독립이란 기치를 내걸고 반란을 일으켰다.
당나라의 전군이 고구려로 출정한 사실을 간파한 그들로서는 연개소문의 설득을 떠나서 오랜 기간 당나라의 지배하에 있던 자신들의 위상을 정립하기 위해 절호의 기회를 놓칠 수 없었다.
회흘의 반란으로 당고종은 즉각 전령을 보내 루방도와 부여도로 진군하던 당나라 군사들로 하여금 회흘의 반란군을 진압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그에 따라 두 갈래로 진군하던 당나라 군사들은 진군을 멈추었다.
한편 연개소문의 명을 받은 뇌음신은 급하게 이동하여 말갈 장군 생해와 군사를 합하여 술천성(述川城, 여주)을 공격했다.
그리고 뒤를 이어 북한산성으로 옮겨가 신라의 성주 동타천이 지휘하는 신라군과 일대 접전을 벌이다 신라군이 군사를 돌리자 다시 평양성으로 향했다.
여러 갈래로 쳐들어오는 적…연개소문 묘안은?
척척 들어맞는 작전…압록수에서 당군을 수장
요동성에서 당군의 움직임을 주시하고 있던 연개소문에게 다급한 소식이 전해졌다.
소정방이 이끄는 군대가 곧바로 수군을 이끌고 대동강으로 진격하여 평양성으로 진군하고 있다는 소식이었다.
그뿐만 아니었다.
압록수로 들어온다던 방효태가 이끄는 부대도 바다를 건너 평양성 가까이로 접근하고 있다는 전갈 역시 전해졌다.
또한 요동도로 들어온다던 글필하력이 이끄는 부대가 연개소문이 기다리고 있던 요동성을 우회하여 배로 압록수로 향하고 있다는 정보 역시 들어왔다.
당나라의 간계에 허탈해하던 연개소문이 회흘에서 돌아온 고연무에게 요동성을 사수하라 지시내리고 급히 압록수로 이동했다.
“대감, 평양성이 급한지 않겠습니까?”
곁에서 따르던 두방루가 연개소문에게 다가섰다.
“평양성은 그리 쉽게 함락되지 않을 거요.”
“물론 그런 측면도 있습니다. 또한 연정토 장군이 이끄는 중앙군이 건재하고 있으니 쉽사리 당하지는 않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러나.”
말을 잇지 못하는 두방루의 표정이 어둡게 변해갔다.
연개소문이 그를 살피며 가볍게 한숨을 내쉬었다.
“두방루 장군은 남건과 함께 곧바로 평양성으로 진군하여 곳에서 연정토 장군과 합류하시오.”
“대감께서는.”
“압록수로 진군한 글필하력의 부대를 섬멸할 것이오.”
연개소문이 두방루에게 평양성으로 곧바로 진군하라 지시하고 압록수로 달려갔다.
압록수에 도달하자 고문과 큰 아들 남생이 견고하게 진을 치고 당나라 군사들의 침공에 대한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있었다.
“요동성은 어찌하시고.”
개소문이 답에 앞서 허탈하다는 듯 혀를 찼다.
“왜 그러십니까?”
“오랑캐 놈들에게 보기 좋게 당했소.”
“당하시다니요?”
“이곳으로 오기로 한 방효태의 부대가 바다를 건너 곧바로 평양성으로 진군하고 있소. 그리고 요동으로 온다던 글필하력의 부대가 이곳으로 오고 있다 하오.”
“그러면 루방도와 부여도로 들어오기로 한 당군은 어찌 되었습니까?”
“그야 우리 계략대로 회흘에 발이 잡혀 회군하였소.”
“그나마 다행입니다만 평양성으로 가시지 않으시고.”
“먼저 이놈들을 격파하고 가려하오. 뒤에 적을 둘 수는 없지 않겠소.”
잠시 고문과 대화를 나누던 연개소문이 고문과 남생을 앞세우고 적들의 동향을 살피기 위해 압록수로 나아갔다.
압록수가 매서운 추위에 단단하게 얼어 있었다.
그를 살피며 남생에게 급하게 포차를 제작하라 지시했다.
“포차는 어디에 쓰시렵니까?”
“당나라 놈들이 강이 얼어 배로 건널 수 없으니 반드시 얼음 위로 건너올 것이오.”
“하면 포차로!”
“그러니 우리는 잠시 휴식을 취하며 저 놈들이 강을 건너기를 기다립시다.”
오래지 않아 당나라 군사들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견고하게 얼어붙은 압록수를 따라 진군하자 멀리서 그를 관찰하던 연개소문이 당나라의 후미가 얼음에 발을 들여놓은 시점에 포차를 쏘라 지시했다.
“수장시켜라”
남생이 연개소문의 명에 따라 병사들과 함께 무거운 돌을 쏘아대기 시작했다.
그를 살피던 글필하력이 일시적으로 진군을 멈추었으나 단단하게 언 어름을 살피며 개의치 않고 서둘렀다.
연개소문이 회심의 미소를 짓고는 직접 병사들을 독려해서 포차를 쏘아대기를 잠시 후 얼음이 갈라지기 시작했다.
돌에 의한 충격과 한꺼번에 몰려든 당나라 군사들의 무게를 감당하지 못한 얼음이 깨지면서 무너져 내렸다.
“한 놈도 남기지 말고 수장시켜라!”
연개소문의 외침에 무거운 돌은 물론 화살이 압록수로 날아들기 시작했다.
깨지는 얼음 틈바구니에서 발버둥 치던 당나라 군사들이 차가운 물속으로 빨려 들어갔다.
<다음 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