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관광공사 선정>푸릇푸릇 신토불이 오일장터 탐방-안성오일장

2012.04.30 13:00:17 호수 0호

흥겹고 신명나는 전통시장 ‘안성맞춤이구만요’

수도권에서 전통시장의 분위기를 잘 느낄 수 있는 곳 가운데 하나가 경기도 안성의 오일장이다. 끝자리가 2와 7로 끝나는 날, 안성 중앙시장 주변에 Y자 형태로 들어선다. 안성장은 조선시대 대구장, 전주장과 함께 조선 3대장으로 불릴 만큼 컸다. ‘안성장은 서울장보다 두세 가지가 더 난다’는 말이 생길 정도였다. <영조실록>에는 안성장의 규모가 서울의 이현시장이나 칠패시장보다 커서 물화가 모이고 도적떼들도 모여든다는 기록이 있다. 더불어 ‘안성맞춤’으로 대변되는 ‘유기’를 살펴볼 수 있는 안성맞춤박물관, 신명나는 남사당놀이를 관람할 수 있는 남사당공연장, 아침 안개가 서정적인 고삼저수지 등과 함께 일정을 짜면 알찬 봄여행을 즐길 수 있다. 



위치 : 경기도 안성시 서인동

봄을 느끼기에는 전통 오일장만한 곳이 없다. 요즘의 장터 좌판은 아낙들이 캐 낸 향긋하고 상큼한 봄나물로 가득하다. 싱싱한 생선도 장터 한켠을 차지하고 있고 다른 한 쪽에서는 뜨끈한 가마솥국밥이 김을 무럭무럭 피우며 구수한 냄새를 진동시킨다. 오일장 이곳저곳을 기웃거리다보면 완연한 봄을 실감할 수 있다.

수도권에서 전통시장의 분위기를 잘 느낄 수 있는 곳 가운데 한 곳이 경기도 안성의 오일장이다. 안성은 고을 이름부터 푸근하고 넉넉하다. 예로부터 산수가 온화해 자연 재해가 없고 각종 물산이 풍부해 살기 불편함이 없었다. 그래서 동네 이름에도 편안할 ‘안(安)’자가 들어갔다. 이중환의 택리지(擇里志)에도 “안성은 경기와 호남바닷가 사이에 있어 화물이 모여 쌓이고 공장과 장사꾼이 모여들어 한양 남쪽의 한 도회로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수도권에서 전통시장 분위기
가장 잘 느낄 수 있는 곳

살기 좋은 안성은 안성장에 가면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안성장은 끝자리가 2와 7로 끝나는 날 안성 중앙시장 주변에 Y자 형태로 늘어선다. 길이는 약 1.5km. 지금은 옛 모습과는 사뭇 다른 현대화된 시장분위기를 풍기지만 구수한 인심이 넘치는 옛 장터의 정취를 느끼기에는 모자람이 없다.


안성장은 조선시대 대구장, 전주장과 함께 조선 3대장으로 불렸다. 충청도와 전라도, 경상도 등 삼남지방에서 출발해 한양을 가는 지방의 상품과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안성이 동래~대구~충주~용인~백교~한양으로 이어지는 영남로와 영암~나주~정읍~공주~수원~한양으로 이어지는 호남로가 만나던 지점이었던 까닭이다. 안성이 곧 동서와 남북의 물산들이 모이던 물산집하장으로서의 역할을 한 것인데, ‘이틀이레 안성장에 팔도화물 벌일 렬(列)’이란 천자문 풀이도 있었고 ‘안성장은 서울 장보다 두세 가지가 더 난다’는 속담이 생길 정도였다. 그만큼 상품의 종류가 많고 값도 쌌다는 뜻이다. <영조실록>에는 안성장의 규모가 서울의 이현시장이나 칠패시장보다 커서 물화가 모이고 도적떼들도 모여든다는 기록이 있고, 박지원의 소설 <허생전>에서 허생이 서울로 모이는 물산을 매점매석하기 선택한 곳이 안성장이다.

장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시간은 오전 10시 무렵. 하지만 상인들이 좌판을 준비하는 모습부터 보려면 9시까지 장에 나와야 한다. 이것저것 구경하다보면 한두 시간은 훌쩍 지난다. 시골장의 풋풋한 인심이 아직도 조금은 남아 있어 장이 서는 날에는 이른 아침부터 주변 지역과 서울에서 많은 사람들이 찾아온다.

대구장·전주장과 더불어
‘조선 3대장’으로 불려

시장은 초입부터 시끌벅적하다. 달래며 냉이, 두릅, 버섯, 더덕, 상추, 오이, 감자 등 나물과 채소, 푸성귀를 펼친 좌판이 늘어서 있다. 커다란 비닐봉지 하나 가득 담아도 5000원이 채 되지 않는다. 5000원어치를 사니 한 움큼 가득 더 담아준다. 세상이 각박해져 간다지만 아직도 시골 장터에는 이런 인심이 넘쳐난다. 곡물 가게 앞에 놓인 조, 수수, 콩 등이 담긴 자루는 미술작품인양 화려하다.

어물전도 한켠을 차지하고 있다. 고등어, 갈치, 오징어 등 생선이며 조개류들을 가득 차려놓은 좌판에서 봄냄새가 물씬 묻어난다. 먹거리뿐만 아니라 옷과 잡화에다 옛날 필름카메라 등을 파는 골동품상까지 들어서 있어 장 구경하는 재미가 여간 쏠쏠한 것이 아니다.

물건 사는 재미도 쏠쏠하지만 장 구경은 역시 사람 구경이다. 나물 좌판 할머니, 구수한 입담으로 손님을 불러 모으는 청국장 아줌마, 리어카 카페 마담 등 장터 상인들도 구경꾼의 흥을 돋운다.

푸짐한 먹을거리도 장터 구경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일. 안성하면 국밥이다. 예부터 안성장은 소를 사고파는 우시장 또한 유명했는데, 안성장에서 떠돌이 장돌뱅이들의 입맛을 사로잡았던 음식이 장터국밥이다. 소고기가 듬뿍 들어간, 매콤하고 얼큰한 국밥 한 그릇을 해치우고 나면 봄기운으로 나른한 몸은 어느새 보약 한 첩을 먹은 것처럼 힘이 솟는다. 

장 주변엔 둘러볼 곳도 많다. 안성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안성맞춤’으로 대변되는 ‘유기’이다. 안성 유기가 다른 지방보다 유명했던 이유는 깐깐한 서울 양반가들의 그릇을 도맡아 만들었기 때문. 안성 유기그릇은 제작 기법이 정교해 당시 양반들이 선호하던 작고 아담한 그릇을 만드는데 적합했고 품질이 뛰어나 사람들의 마음에 꼭 들었다. 바로 여기서 안성유기를 대표하는 ‘안성맞춤’이란 말이 생겨났다고 한다.

안성맞춤박물관은 안성 유기, 그리고 안성의 농업 및 향토문화를 소개하고자 안성시에서 건립한 시립박물관. 유기의 제작과정과 특성을 모형과 영상을 통해 살펴볼 수 있는데다 안성의 불교문화, 유교문화 등 안성의 역사와 문화도 만날 수 있어 아이들과 함께 온 가족여행객이라면 꼭 한 번 들러볼 만하다.

안성은 재인의 땅이기도 했다. 조선시대 유랑 예인(藝人) 집단인 남사당패들의 본거지가 안성이었고 19세기 후반에 활동한 최초의 여자 꼭두쇠(우두머리) 바우덕이도 안성이 고향이다. 바우덕이의 성은 김(金), 이름은 암덕(巖德). 바우덕이는 ‘암덕’을 한글로 풀이한 것이다. 가난한 소작농의 딸로 태어난 바우덕이는 다섯 살 때 청룡사 안성 남사당에 입단해 열다섯의 나이에 남사당패 역사상 최초의 여성 꼭두쇠로 추대된다. 그녀는 대원군이 경복궁을 중건할 때 공역자들을 위로한 풍물놀이판을 벌인 공로로 정삼품 당상관 벼슬을 하사받기도 했다. 그녀는 스물 둘의 꽃다운 나이에 폐병으로 숨을 거두기까지 뭇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는데, 오죽했으면 ‘안성 청룡 바우덕이 소고만 들어도 돈 나오고, 치마만 들어도 돈 나온다’고 했을까. 남사당공연장에서 매주 토요일과 일요일 흥겨운 남사당놀이를 볼 수 있다. 

예인의 고장 안성
바우덕이 흔적 만날 수 있어


바우덕이의 흔적은 청룡사 가는 길 서운산 자락에서 만날 수 있다. 그녀의 무덤인지는 정확하지는 않고, 안성시가 10여 년 전 전해오는 구전을 바탕으로 가묘를 만든 것이다.

바우덕이묘를 지나면 청룡사다. 고려시대 창건된 절로 조선 후기 남사당패들의 근거지였다. 이들은 청룡사에서 겨울을 난 뒤 봄부터 추수가 마무리되는 가을까지 전국을 떠돌며 연희를 팔며 생활했다. 그리고는 청룡사에서 내준 신표를 챙겨들고 추운 겨울이 되면 다시 돌아왔다고 한다. 

고즈넉함을 즐길 수 있는 여행지도 있다. 고삼저수지는 김기덕 감독의 영화 <섬>을 촬영한 곳이다. 아침이면 저수지에 떠 있는 수상좌대와 자욱한 안개가 어우러져 몽환적인 풍경을 연출한다. 죽산성지와 미리내성지 등 천주교 성지도 돌아볼 만하다. 잘 정비된 산책로를 따르다보면 마음이 차분해지고 평안해진다.
자료출처 : 한국관광공사
 www.visitkorea.or.kr
 

<여행정보>

♣당일 코스
태평무전수관 → 남사당전수관 → 안성오일장 → 안성맞춤박물관 → 청룡사

♣1박2일 코스
첫째 날 : 태평무전수관 → 남사당전수관 → 안성오일장 → 안성맞춤박물관 → 청룡사
둘째 날 : 고삼저수지 → 서일농원 → 칠장사 

♣대중교통
버스 : 서울고속버스터미널에서 안성버스터미널까지 수시 운행

♣자가운전
-중부고속도로 일죽나들목 → 38번 국도 → 안성중앙시장
-경부고속도로 → 평택제천고속도로 남안성IC → 안성중앙시장

♣주변 볼거리 : 3·1운동기념관, 안성객사, 안성마춤유기공방, 석남사, 미리내성지, 죽주산성, 풍산개마을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