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기네스’ 꼼수 광고 논란

2012.02.14 10:54:33 호수 0호

한국기네스협회 없어진지가 언젠데 ‘대국민 사기극?’

[일요시사=송응철 기자] LG전자가 대국민 사기극을 벌이고 있다. 최근 출시한 울트라북의 부팅속도가 기네스북에 등재됐다며 대대적으로 홍보했지만 거짓임이 드러난 것. 그럼에도 LG전자는 뻔뻔했다. 정정자료 배포는 물론 기사 수정도 단 한 차례도 없었다. 한 일이라곤 기존의 보도자료를 수정한 것 뿐. 하지만 그마저도 배포를 하지 않은 채 아직도 ‘기네스’라는 단어를 버젓이 사용하고 있다. 문제의 보도자료를 통해 쏠쏠한 재미를 보고 있어서다. 아직 이런 사실을 모르고 있는 ‘순진한 고객’들은 해당 보도자료를 퍼 나르며 LG전자의 홍보를 대신하고 있다.

“다른 기업에서도 자주 사용하는 관례적 표현”
문제제기 후에도 기네스 표현 버젓이 사용해



LG전자는 최근 출시한 울트라북 ‘엑스노트 Z330’을 대대적으로 홍보했다. 해당 제품의 CF에는 배우 신민아가 등장해 많은 여성들과 함께 속도경쟁을 벌였다. 제품의 특징인 빠른 부팅속도를 효과적으로 알리기 위해서다. CF에서 신민아는 최단 부팅속도로 경쟁에서 당당히 1위를 차지, 다른 여성들의 부러움을 한 몸에 받았다.

인증 남발하다 문 닫아

LG전자는 이런 내용을 담은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보도자료에서 LG전자는 해당 제품에 대해 “‘슈퍼 스피드 테크’ 기술을 적용, 9.9초의 부팅속도로 대한민국 최단기록 인증을 받아 한국기네스북에 오른 바 있다”고 소개했다. LG전자는 또 속도뿐만 아니라 성능 역시 우수하다는 점, 슬림 디자인, 가벼운 무게 등 해당 제품의 장점을 강조했다.

이 보도자료에서 단연 눈에 띄는 건 기네스북에 올랐다는 부분이다. 기네스북은 아일랜드의 맥주회사 기네스가 세계 최고를 모아 해마다 발행하는 기록집으로 해당 국가의 기네스협회를 통해 세계기네스북에 각종 희귀 진기록을 올리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한국기네스협회는 지난 2001년 7월부로 문을 닫은 상태라는 것. 인증서를 남발한 게 화근이었다. 이에 따라 한국의 각종 희귀기록과 진기록을 세계기네스북에 등재할 수 있는 기회가 원천봉쇄 된 상태. 해당 제품의 기네스북 등재 여부에 고개가 갸웃거려지는 대목이다.


확인 결과, 영국기네스 본사에 해당 제품의 부팅속도 기록은 등재돼 있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LG전자 역시 기네스에 올라 있지는 않다는 사실을 털어놨다. 자연스레 LG전자가 홍보효과를 누리기 위해 꼼수를 부린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됐다.

LG전자는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결과적으로 고객을 속인 게 됐지만 기네스라는 표현 사용에 대한 기준을 몰랐기 때문에 벌어진 일이라는 것이다. LG전자에 따르면 한국기록원 직원 입회하에 동급 노트북을 놓고 비교한 결과 최상속도를 기록했고 인증식을 거쳐 홍보를 시작했다. 당초 한국기록원은 기네스라는 표현에 대해 문제 삼지 않았으나 보도자료가 나가자 돌연 사용하지 말아달라고 항의를 해왔다고 한다.

LG전자 측 관계자는 “한국기록원 직원의 명함에 기네스라는 단어가 포함돼 있어 아무런 의심 없이 사용했다”며 “한국기록원이 협의하는 과정에서 문제제기를 해줬더라면 사용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 관계자는 “다른 회사에서도 많이 쓰고 있는 관례적인 표현인 만큼 이해해 달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한국기록원의 문제제기 뒤에도 LG전자가 기네스라는 표현을 버젓이 쓰고 있다는 데 있다. 정정자료 배포나 기존 기사의 수정은 이뤄지지 않았다. LG전자 홍보실에서는 해당 보도자료를 수정했지만 단 한 차례도 배포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여기엔 그만한 이유가 있다. 현재 네티즌들은 한국의 제품이 기네스에 올랐다는 사실에 놀라워하며 해당 보도자료를 퍼 나르고 있다. 각종 포털사이트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는 해당 보도자료가 거의 도배되다시피 했다. 기네스라는 단어 하나로 막대한 광고효과를 누리고 있는 셈이다.

눈앞의 떡에 군침

LG전자로선 ‘눈앞의 떡’에 군침을 흘릴 만하다. ‘기네스’를 이용한 홍보가 곧 실적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명심할 점은 꼼수 홍보에 고객들이 등을 돌릴 경우 실적하락은 물론 이미지에 치명적인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점이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