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여성 환자 많은 턱 관절장애

2017.02.06 14:02:27 호수 0호

턱에서 딱딱 소리, 원인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10년부터 2015년까지 건강보험 지급자료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주 진단명으로 ‘턱관절장애’를 진료 받은 환자는 2010년 25만명에서 2015년 35만명으로 40.5% 증가하였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1.5배정도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성별·연령대별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20대(9만4000명, 26.9%)가 가장 많았고, 10대(6만명, 17.1%), 30대(5만6000명, 16.1%) 순이었으며, 젊은 연령층의 여성 진료인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여성이 5만5000명으로 같은 연령대 남성 3만8000명보다 1.4배였으며, 30대와 40 대는 1.7배 등 9세 이하를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여성 진료인원이 많았다.

외래·입원 진료 증가

김문기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치과 교수는 20대 여성 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 “턱관절 장애는 턱관절과 주위 저작근 등의 이상으로 나타나는 기질적 요인도 있으나, 정서적(또는 정신적) 기여요인 또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턱관절 장애는 스트레스, 불안감, 또는 우울증 등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여성이 턱관절 이상 증상에 대해서 더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 가지 고려 사항으로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것은 아니나, 최근 여성호르몬이 턱관절 장애의 병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고 설명했다.

2015년 연령대별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에서도 20대 여성이 1736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10대 1283명, 30대 927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은 20대가 1071명으로 가장 많았고, 9세 이하가 45명으로 가장 적었다.


진료 형태별로 턱관절장애진료인원을 비교해 본 결과, 외래 진료인원은 2010년 24만8000명에서 2015년 34만8000명으로 40.4%으로 증가하였고, 입원 진료자 수도 2010년 322명에서 2015년 445명으로 38.2% 증가하였다.

턱관절장애 관련 진료비 현황을 살펴보면, 입원보다는 외래 진료비가 대부분으로 2010년 대비 79.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진료비는 2010년 173억 원에서 2015년 303억원으로 130억원, 74.9% 증가했다.

스트레스, 불안감, 우울증 등 요인 될 수도
성장기부터 턱관절 장애 다수 발생

김 교수는 턱관절 장애의 원인, 치료법, 예방법 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턱관절 또는 측두 하악관절은 머리뼈(측두골)와 아래턱뼈(하악골) 사이 양쪽 귀 앞쪽에 위치하며, 양쪽 손가락을 바깥귀길(외이도) 앞쪽에 대고 입을 벌릴 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양측 턱관절을 매개로 아래턱을 움직여 입을 벌리기, 저작(음식물 씹기), 연하(삼키기), 말하기 등 복합적인 운동에 관여한다.

턱관절이나 관련 근육 및 주위 구조물 등에 이상이 생겨 통증 및 기능 장애가 나타나는 것을 턱관절장애 또는 측두하악관절장애라 한다.

턱관절 장애는 영상의학 검사를 보조적으로 이용하나 주로 임상적 증상(주관적)이나 징후(객관적) 등에 의해 진단을 하게 된다. 즉, 아래턱의 운동이나 기능 제한, 턱관절 부위의 통증 및 관절음, 주위 근육(저작근) 부위의 동통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진단한다.

턱관절 장애는 다양한 원인으로 야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치료법도 다양한데 크게 비수술적 방법과 수술 등 침습적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비수술적 방법으로는 ▲진통소염제, 근육이완제, 항불안제, 항우울제 등 약물요법 ▲운동요법 ▲교합안정장치 ▲물리치료 ▲보톡스 주사 등이 있다.


침습적 또는 수술적 방법으로는 ▲관절강내 주사 또는 관절강세척술▲턱관절경수술 ▲턱관절원판수술 ▲턱관절성형술 ▲인공 턱관절 전치환술 등이 있다.

잘못된 행동이나 습관도 턱관절장애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갈이, 긴장 시 이 악물기, 편측 저작, 손톱 깨물기, 혀 내밀기, 껌 오래 씹기, 과도하게 입을 크게 벌리기 등이다.

이러한 행동 기여요인이 과도한 근육 긴장 및 피로를 야기하거나 턱관절에 장기간에 걸쳐 오랫동안 미세한 외상 등을 야기하여 턱관절 질환으로 나타날 수 있다.

잘못된 구강 습관 등이 있을 때는 행동요법 치료로 이러한 습관을 인지하고 개선하도록 노력하며 스트레스를 경감하여 저작근 등의 과도한 긴장을 완화해야 한다.

적기치료 필요

성장기에 턱관절 장애가 발생한 채로 방치하여 악화될 경우, 관절 부위 뼈 모양이 변하거나 심하면 뼈가 덜 자라 편측일 경우 얼굴이 비뚤어지는 안면비대칭이 초래되거나 양측일 경우 윗니와 아랫니가 서로 맞물리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지만, 성장기 때는 회복력이 아주 뛰어나 통증을 심하게 못 느낄 수 있어 환자가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고 그냥 지나칠 수 있으므로 특히 보호자의 주의 깊은 관찰과 함께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