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신상미 기자 = 영화감독 심형래(58)씨 측이 지난달 19일 베이징에서 중국의 영화제작사와 <디워2> 제작발표회를 갖고 “5억위안(약 900억원)을 지원받았다”고 밝히면서 배경에 뒷말이 무성하다. 심씨는 과연 900억원이란 거금을 지원받은 것일까. 약간의 ‘입금’을 받았다는 말도 들리고 영화제작의 특성상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신중론도 있다.
심형래씨 측은 지난 19일, 베이징 탕라호텔에서 ‘화인글로벌영사그룹’과 손잡고 내년 여름 전 세계 개봉을 목표로 <디워2 (D-WAR 2, 龍之戰 2)> 제작에 들어간다는 내용의 제작발표회를 가졌다고 언론에 일제히 보도자료를 보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언론들이 보도자료 상의 내용과 사진으로 앞다퉈 속보를 냈다.
투자자 제작실적 전무
이후 심씨는 지난 3월 말 복수의 매체와 인터뷰를 갖고 “할리우드 제작 시스템으로 영화를 만들겠다”면서 “화인그룹의 이신 회장이 <디워2>라면 40억위안(약 7200억원)을 돌파할 수 있다고 했다”고 발언했다.
이에 따라 한화 900억원이라는 ‘통 큰’ 지원을 결단한 화인글로벌영사그룹이라는 중국기업에 국내 영화계의 시선이 쏠렸다. 화인그룹 측은 스스로도 <디워2>가 전세계에 배급하는 자신들의 첫 영화라고 소개했다.
그러나 <일요시사> 취재 결과 화인그룹은 영화제작 실적이 전무한 실체가 불분명한 회사로 보인다. 국내 포털의 영화 카테고리에서 해당 기업으로 검색을 해보면 아무런 정보도 나오지 않는다. ‘바이두’ 등 중국 포털사이트에서 검색해도 TV, 미디어, 영화 등의 컨텐츠를 제작하는 그룹이라고만 간략한 소개가 나올 뿐 중국 내에서 제작한 콘텐츠가 전혀 없는 회사다.
여러 편의 히트 영화를 제작한 유명 영화제작자 A씨는 <일요시사>에 “중국 지인에게 물어봤는데 영화제작 실적이 전혀 없는 회사라고 하더라”며 “실체가 없는 회사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어 A씨는 “말이 900억이지 중국에 아무리 돈이 흘러넘친다고 해도 적은 돈도 아니고 심정적으론 과연 그 큰 돈을 투자했을까 라는 의문이 드는 것은 사실”이라며 “현업에서 일을 하다보면 900억은커녕 9억도 투자 받기가 쉬운 일이 아니다”라고 의문을 제기했다.
영화제작 경험이 전무한 회사가 중국 국내 개봉도 아닌 월드 와이드 릴리즈(World Wide Release) 개봉을 하는 영화를 제작·투자·배급할 수 있을지 의문이 가는 대목이다. 무엇보다 화인그룹 측은 <디워2>의 제작·투자·배급에 직접 5억위안을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5억위안의 ‘펀드’를 조성해 투자하기로 한 것도 미심쩍다.
영화피디 B씨는 영화계의 좋지 않은 해묵은 관행을 언급했다. 그는 “또 다른 투자를 받기 위해 낚시를 던지는 것이 있다”라며 “말로 투자하겠다는 것과 실제로 투자가 들어오는 것은 다르다. 기사는 나오는데 실체는 모르겠다”고 조심스럽게 밝혔다.
B씨가 언급한 관행은 투자를 받기 위해 영화 관계자가 이미 거액을 투자 받았다거나 유명 배우가 출연한다는 내용의 보도자료를 내 영화계 내외에서 투자자를 끌어 모으는 행위를 일컫는다. 영화계 내의 거대 투자사들은 이러한 행위에 관심을 두지 않지만 영화를 잘 모르는 일반인들은 이것을 보고 영화에 투자할 수도 있다는 것. 막상 영화제작이 중단되면 초기에 문외한이 투자한 자금들은 고스란히 돌려받을 수 없게 되고 만다.
영화평론가 C씨는 “현재는 심형래 감독이 준 자료만 갖고 판단할 수밖에 없다”고 전제한 뒤 “중국에서 하는 걸 여기서 보도자료를 내는 등 이벤트 할 필요가 없다. 중국에서 활동하는 감독이나 제작자들이 많지만 그 활동을 굳이 국내에서 떠들지 않는다. 한국시장을 타깃으로 하는 작품이 아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 평론가는 “공개적으로 나오는 말은 아니지만 페이퍼 거래가 많아서 지금 상태에선 성과가 있다고 언급할 수 없을 거 같다. 앞으로 국내 영화제 정도는 가야 신빙성이 있을 거 같다”고 조심스럽게 밝혔다.
지난 2011년 9월 영구아트무비 직원 4명은 기자회견을 열고 “<디워>를 만든 직후인 2008년 때 외주를 쉽게 받을 수 있는 상황이었다”면서 “투자하겠다는 사람이 많았는데 그때 관리를 안하고 다른 데를 다녔기에 때를 놓친 거다. 그래서 (위기가) 야기됐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당시 직원들은 <디워>의 성공 이후 심씨가 강원도 정선카지노에서 도박으로 회사공금을 탕진했다고 주장했다. 20억원의 제작비를 150억원으로 부풀려 청구하기도 했다. 당시 심씨는 “이렇게 해야 직원들 월급을 줄 수 있다”고 직원들을 설득했다고 한다. 정관계 로비설도 사실이라고 시인했다. 한번 카지노에 가면 회사에 전화해 최소 1000만원에서 1억원까지 송금해 달라는 요구를 했다고도 했다. 가스총을 실탄을 쏠 수 있는 권총으로 개조해 성능실험까지 했다고 밝혀지기도 했다.
당시 직원들의 임금이 1인당 수천 만원대로 체불됐던 것은 2010년 미국에서 개봉한 <라스트 갓파더>의 수익이 좋지 않았고 특수촬영과 관련해 수주가 거의 없었던 것도 원인으로 풀이된다.
중국 영화제작사 5억 위안 투자설
실체도 없는 회사가 거금을 투자?
그후 심씨는 170억원에 이르는 부채를 감당하지 못하고 결국 파산신청을 통해 빚을 탕감 받았다. 2014년 <디워2> 제작을 알리면서 당시 100억원을 투자받고 촬영에 들어간다고 했지만 후속은 전혀 없었다.
심씨는 지난해 11월 한 종편방송에 출연해 “임금체불사건 당시 극단적인 생각을 한 적도 있다”며 “이혼소송을 비롯해 경매, 파산까지 들어오는 등 쓰나미처럼 일이 있었다”고 말했다. “<디워2>를 통해 재기한 뒤 직원들에게 월급을 주겠다”고도 했다. 2011년께에 불거진 임금체불 문제가 당시까지도 해결되지 않았던 것이다.
그러나 그간의 구설과는 달리 <일요시사>가 접촉한 복수의 영화계 관계자들 사이에선 심씨에 대한 평판은 박하지 않았다. 앞서의 제작자 A씨는 심씨에 대해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그는 “난 심씨와 일면식도 없다. <디워>를 만들 당시 CG제작사에 CG를 맡기면 되는데 자기가 직접 차려서 그동안 번 돈을 다 잃은 거다. 투자사가 붙어서 한 것도 아니고 오로지 무대포식 돈키호테 정신으로 쫓아다니면서 <용가리>도 만들고 <디워>도 만들고 한 것”이라며 “그렇게 만든 영화가 미국서 전국 개봉을 했는데 돈은 하나도 못 벌고 다 배급업자에게 빼앗겼을 거다. (심씨는) CG와 특수촬영 분야에서 큰 업적을 남긴 사람”이라고 평가했다.
이 제작자에 의하면, 심씨가 ‘영구아트무비’라는 CG회사를 설립했을 당시 영화계 내에선 심씨만이 벌일 수 있는 무모한 일이라는 반응이 컸다. 대형 스튜디오를 차리고 수십 명의 직원을 고용해 매달 월급을 줄만큼 국내 영화계가 크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의 무모한 시도 덕분에 한국의 특수효과는 세계 최고 수준으로 발전했다. 현재 미국과 중국 등 드라마·영화시장에서 한국영화계가 오더를 받거나 직접 현지에 업체를 차려 진출하고 있는데, 현재 특수효과 분야의 실력자들은 모두 영구아트무비 출신이라는 것이다.
A씨는 “심씨 덕분에 결과적으로 한국 스튜디오 특수촬영과 CG는 엄청난 기술향상을 이뤄냈다. 여러 해 동안 월급을 주고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한 뒤 직원들 개개인의 역량이 향상되면서 전문가로 키운 거다. 선수들은 다 안다”고 강조했다.
앞서 영화피디 B씨는 “파이낸싱, 기획, 제작자로서는 재능이 있다. 이번에도 본인이 연출을 안하고 제작만 하는 걸로 알고 있다. 워낙 독특한 사람이고 영화피디로서 볼 땐 대단한 사람”이라고 평했다.
이어 그는 “알아보니 얼마인지 정확한 금액은 알 수 없지만 이번 영화와 관련해 실제로 입금이 됐다고 한다”고 조심스럽게 밝혔다.
심씨는 국내 투자가 어려워지자 중국 및 베트남 해외 투자자들을 만난 것으로 알려졌다. 심씨의 정재계 인맥이 다수 있지만 개그맨 출신이라 영화계 인사들 중에 심씨에 대해 잘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고. 중국에서 영화제작이 활발하고 심씨가 보유한 특수효과 콘텐츠와 그간의 영화제작 경험을 높게 평가하는 투자자가 있을 수 있다.
앞서 영화평론가는 “중국은 예산이 움직이는 게 크다 보니 가능하다고 생각되면 투자가 크다”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자자가) 지분을 정확히 받아갈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육영수나 이승만의 전기영화를 만든다고 떠들썩하게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하는 등 이벤트를 하고 초기에 투자를 많이 받았지만 다 엎어졌다. 하지만 보수 쪽에서도 <크로싱>이나 몇몇 탈북인이 연출한 잘 만든 영화처럼 만듦새를 잘 다듬으면 보수파도 엄청나게 펀딩을 한다. 꼭 거액의 투자가 아니어도 소액 후원하는 사람이 많을 수 있다. 객관적 평가와 일반인의 심형래에 대한 인식은 다르다”며 심씨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영화계 내부는 호평
앞서의 A씨는 “투자자를 모으려고 뭐라도 해보는 것이다. 중국서도 영화를 만들어서 미국에서 개봉한 걸 다 알지 않나. 심형래라는 인물 자체에 대해선 존재감이 있는 거다. 아무 것도 없는 상태서 재기하려고 하는 것을 보니 측은지심이 생긴다”면서 “스타는 대중 앞에 있을 때 스타다. 무대 뒤 사람으로 살고 싶지 않은 거다. 잊혀지기 두렵고 아직까지 자기가 살아있다는 것을 증명하고 싶은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