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경제팀] 양동주 기자 = ‘바른먹거리’로 잘 알려진 풀무원이 최근 화물운송노동자들의 운행거부사태로 곤혹을 치르고 있다. 이도 모자라 주력생산품목에서 식품첨가물 논란이 불거지는가 하면 기업의 재무건전성에 대한 의구심마저 나온다. 삼중고로 불어닥친 악재에 착실히 쌓아온 착한 기업이라는 이미지마저 흔들리는 양상이다.
풀무원식품, 푸드머스, 풀무원건강생활, 이씨엠디, 풀무원샘물, 풀무원다논을 계열사로 둔 '풀무원'은 유기농 식품을 앞세워 외형을 확장해온 국내 대표적인 종합식품제조업체다.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 8년 연속 선정, 지속가능성지수 5년 연속 종합식품부문 1위, 대한민국 일하기 좋은 기업 5년 연속 수상 등에서 알 수 있듯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으로 인식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엎친 데 덮친 격
그러나 풀무원을 바라보는 긍정적인 시선에 조금씩 흠집이 생기고 있다. 최근 풀무원 자회사인 엑소후레쉬물류 충북 음성물류사업장에서는 20일이 넘도록 대형 트럭으로 회사 정문을 봉쇄한 지입차주 40명과 사측의 대치가 진행 중이다. 이들은 물류센터 인근 도로에 트럭 40여대를 동원해 물류센터를 포위한 채 정상적인 물류 유통의 흐름을 막고 있다.
화물운수업자들의 행동을 불법으로 규정한 풀무원 측이 밝힌 금전적 피해액은 약 10억원 수준. 파업차량을 대신해 풀무원 제품을 운송하는 대체차량에 돌을 던지거나 운송기사에게 위협을 가하는 불법행위도 만연하다는 게 풀무원 측 설명이다.
풀무원과 대립각을 세우는 화물운수업자들의 목소리는 사뭇 다르다. 이들의 주장에 따르면 모든 정황의 주범은 풀무원이고 파업은 풀무원의 행태에 참다못한 노동자들의 단체행동이나 다름없다. 풀무원의 ‘갑질’을 언급하고 나선 이유도 여기에 있다.
지금껏 화물운수업자들은 자신의 차로 풀무원과 계약을 맺고 물류를 운송해왔는데 지난 20년간 운임을 동결해온 풀무원이 식대지급에 대한 약속마저 지키지 않았다는 게 이들이 말하는 핵심이다. 여기에 추가적인 운송 인력마저 감축하면서 업무 부담이 가중됐고 해괴한 논리를 앞세운 사측의 일방적 행태가 문제를 키웠다고 보고 있다.
풀무원과 화물운수업자 사이의 갈등은 단순 파업을 넘어 자칫 노조탄압 문제로 확산될 소지가 다분하다.
화물운수업자들은 지난 12일 성명에서 "이번 파업은 'CI' 때문이 아니라 풀무원의 갑질과 노조 탄압에 일차적 원인이 있다"며 "지난해 11월과 올해 1월 파업 후 작성한 노사 합의서는 휴지 조각이 됐다"고 풀무원을 질타했다.
여기에 화물운수업자 사이에서 풀무원 계열사인 엑소후레쉬물류가 일부 노조 조합원들에게 화물연대 탈퇴를 회유하고 종용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어 갈등의 골은 좀처럼 메워지기 힘든 양상이다.
풀무원의 일부 주력상품에 식품첨가물이 함유한 것으로 밝혀진 점도 풀무원의 이미지에 흠집을 내는 데 일조했다. 문제가 된 상품은 풀무원다논의 ‘다논 그릭플레인요거트’로 상품 성분분석표에 버젓이 카제인나트륨, 변성전분, 합성착향료 등이 들어 있다.
화물운송 노동자들 운행 거부 사태 곤욕
식품첨가물 논란에 재무건전성 빨간불도
통상 그릭요거트는 원유와 유산균 등으로만 제조된다. 원유를 저온으로 가열, 수분을 증발시킨 뒤 자연 발효하거나 발효한 원유를 거름망 등으로 유청을 제거하고 단백질 고형분만 남기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만큼 믿을 수 있는 식품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그러나 그릭요거트를 자칭한 풀무원의 제품은 이같은 제조방식을 따르지 않고 발효한 원유를 짜내 유청을 인위적으로 제거 후 단백질 고형분만 남기는 여과 방식으로 제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과정에서 칼슘, 비타민, 미네랄, 유청단백 등 영양분 손실이 일어나는데 이를 보충하기 위해 인공첨가물을 사용해 단백질 함량을 높인 셈이다.
또한 풀무원은 그릭요거트 제품 포장에 ‘그릭스타일요거트’로 표시해 정통 그릭요거트 논란에서 한발 비껴가는 치밀함을 보여주었다. 풀무원 측은 “자사의 요거트에 첨가물이 든 것은 맞다”라며 "해외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합성첨가물이 전혀 함유되지 않아야 그릭요거트라는 인식에 대해서는 수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만천하에 공개된 화물운수사업자와의 갈등, 식품첨가물 논란과 함께 재무건전성 문제는 구설수에 오른 풀무원을 더욱 궁지로 내몰고 있다. 최근 풀무원은 본격적으로 뛰어든 해외시장에서 수익 악화로 고전 중이다. 이미 미국과 일본에서 적자에 허덕이고 있고 풀무원식품으로 인해 모기업 풀무원의 재무와 신용도마저 빨간불이 켜진 상태다.
실제로 그룹의 주력인 풀무원식품은 지난해 163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하며 전년동기(12억원)와 비교해 괄목할만한 성장세를 나타냈지만 해외법인 실적을 포함하는 연결재무제표 순이익은 16억원에 불과했다.
풀무원이 지난 8월 풀무원식품에 700억원대 자금 지원에 나선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해외사업 손실 확대로 당초 계획했던 IPO(기업공개)가 무산되자 풀무원식품에 1000억원을 투자했던 홍콩계 사모펀드 SIH(스텔라인베스트홀딩스)가 자금을 회수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풀무원식품이 사모펀드에 자금을 빼주기 위해 주식(220만2096주, 1482억원)을 소각하는 유상감자를 단행하면서 부채비율이 치솟자 긴급 조치에 나선 것으로 해석 가능하다. 또한 300억원대 전환사채(CB)를 발행해 풀무원식품 차입금 상환에 사용할 예정이다.
IB업계 관계자는 “해외부문의 영업손실 등 영업 또는 재무 측면에서의 부정적 요인이 가중될 경우 신용등급 하락 가능성이 재차 부각 될 것”이라며 “특히 풀무원식품은 연말까지 외부투자자 유치를 통해 1000억원 규모의 추가 자본 확충을 계획하고 있어 재무 측면에서의 부정적 요인이 가중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착한기업 휘청
바른먹거리를 표방해 온 풀무원의 이미지 메이킹 전략은 친환경, 친사회적인 이미지를 제고하는데 큰 역할을 담당했다. 그러나 최근 불거진 화물운송사업자 파업, 식품첨가물 논란, 재무불안정성 등 풀무원을 둘러싼 연이은 악재는 지금껏 풀무원이 힘들게 쌓아온 긍정적 기업 이미지를 통째로 흔들기에 충분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