뻔뻔한 국회의원 특권 해부

밥값도 못하면서 200개의 특권 누린다?

[일요시사 정치팀] 김명일 기자 = "국회의원에겐 200여개의 특권이 있다?" 밥값 못하는 국회의원들의 특권이 또 도마에 올랐다. 지난달 30일 자유경제원의 발표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회의원들은 다른 나라와 비교해 지나치게 높은 세비를 받고 있으며, 크고 작은 200여개의 특권을 누리고 있다. 세월호 정국에 가로막혀 무려 151일 간이나 법안을 단 한 건도 처리하지 못했던 국회가 이런 특권을 누릴 자격이나 있는 것일까?

세월호특별법 협상을 둘러싼 대치정국이 이어지면서 지난 5월2일 이후 법안을 단 한 건도 처리하지 못했던 국회가 지난달 30일 드디어 극적으로 협상을 타결했다. 국회는 이날 협상을 타결한 후 민생법안 등 90건의 안건을 일사천리로 처리했다. 무려 151일 만이었다.

세비 인상 침묵

그런데 하필 같은날 식물국회란 비난을 받아왔던 국회의원들의 세비가 인상된다는 소식이 전해져 국민들의 분노가 들끓었다. 정부가 내년도 국회 세출 예산안에 국회사무처 인건비와 국회의원 세비를 공무원보수인상률(3.8%)을 적용해 반영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소식이 전해진 후 일부 의원들은 ‘자신들이 생각해도 이 시점에 세비 인상은 너무 뻔뻔하다’며 세비 인상에 반대 입장을 내놨지만 대다수의 의원들은 여전히 침묵만을 지키고 있다.

우리나라의 세비는 다른 국가들과 비교해 이미 높은 수준이다. 우리나라가 1억3천만원, 미국은 1억9천만원, 독일은 1억4천만원으로 액수만 놓고 보자면 비슷한 수준이지만 경제수준을 놓고 비교하면 차이가 뚜렷하다. 우리나라 국회의원의 세비는 1인당 GDP의 5배가 넘지만 선진국들의 세비는 2~3배 정도에 불과하다.

국회의원 세비는 국회 운영위원회에서 여야 합의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인상폭이 조정될 가능성이 남아 있다. 그러나 현재 국회의 분위기로 봐서는 여론의 질타에도 불구하고 세비 인상안을 그대로 통과시킬 분위기다.

지난 18대 국회에서 1억1304만원이었던 세비는 2011년 1억1969만원, 2012년 1억3796만원으로 2년 연속 인상된 바 있다. 이후 세비를 국민들 몰래 인상시킨 사실이 뒤늦게 발각돼 여론의 호된 질타를 받은 국회는 2013년과 2014년에는 세비를 인상하지 않았다. 세비가 3.8% 인상되면 국회의원 연봉은 524만원이나 인상돼 총 1억4320만원을 받게 된다. 올해는 특히 국회가 151일 간이나 공전한 데다 서민증세, 공무원연금 개혁 등 민감한 이슈와도 시기가 겹쳐 있어 세비 인상 소식에 대한 국민들의 시선은 더욱 따가울 수밖에 없다.

한편 같은날 자유경제원(원장 현진권)은 여의도 자유경제원 회의실에서 ‘특권의 전당 국회, 어떻게 개혁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제7차 정치실패 연속토론회를 개최하고 우리나라 국회의원에게는 200여개의 특권이 있다는 주장을 펼쳐 눈길을 끌었다. 우리나라 국회의원들이 누리는 특권들은 그야말로 눈이 휘둥그레지는 것들이었다.

공무원연금은 깎자더니 세비 인상?
권위 타파, 거꾸로 돌아간 국회 시계

우선 현재 국회의원이 받는 세비는 1억3796만원이지만 국회의원 1명을 유지하기 위해 드는 돈을 모두 합하면 7억7백만원에 달한다는 분석이다. 회기 동안 지급받는 특별활동비와 해외시찰 비용, 최대 9명의 보좌진의 임금 등을 모두 합해보니 나온 금액이다.

이중에는 간식비 600만원도 포함됐다. 무슨 간식비를 600만원이나 챙겨주느냐는 비판에 국회는 야근 때 나오는 야식비 명목으로 다른 정부부처에도 있는 지원항목일 뿐 특혜는 아니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국회의원 한 명을 1년 동안 유지하기 위해 드는 비용이 7억7백만원에 달한다는 사실은 여전히 충격적이다. 국회는 개원 후 의석수를 꾸준히 늘려왔으며 지난 2012년 2월에도 압도적인 찬성으로 국회의원 의석수를 299석에서 300석으로 늘린 바 있다. 게다가 국회의원들은 여기에도 만족하지 못하고 의석수를 더 늘려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보좌직원도 선진국들에 비해 너무 많다는 지적이다. 스웨덴의 경우에는 보좌관 1명이 4명의 의원을 보좌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차량 관련 지원도 혀를 내두르게 한다. 과거 권위주의 타파가 시대정신으로 떠올랐던 17대 국회 때는 국회의원들이 의전차량으로 경차를 선택하는 경우도 종종 있었으나, 최근에는 마치 서로 짜기라도 한 듯 검은색 대형차량들만 즐비하다. 시계가 거꾸로 돌아간 듯하다.

차량 관련 지원을 보면 유류비로 매월 110만원, 차량유지비로 매월 35만8000원을 지원받는다. 유류비와 차량유비지로만 1년에 1749만6000원을 지원받는 것이다. 여기에 의원들이 급할 땐 택시를 타라며 연간 100만원을 추가로 지원한다. 이와 비교해 유럽 국가들은 차량 관련 지원이 별도로 없는 경우가 많고, 일부 북유럽 국가에서는 국회의원들이 대중교통이나 자전거를 이용해 출퇴근 하는 것이 일상화되어 있다.

자유경제원은 또 국회의원이 KTX나 항공기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고 주장했으나 반은 맞고 반은 틀렸다. 지난 2006년 철도청이 공사가 되면서 이제는 돈을 주고 표를 구입해야 한다. 다만 출장비를 청구하면 전액 돌려받는 식이다.

국회의원들은 원래 비행기를 탈 때 1등석을 이용했으나 지난 2009년 이후에는 정치개혁의 일환으로 2등석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대다수의 국민들이 3등석을 이용하고 있는 상황에서 2등석 이용이 정치개혁이라고 보기엔 다소 아쉽다. 북유럽 국가들의 경우 공무 출장 때는 가장 저렴한 표를 구입해야 비용을 돌려받는다.


미지근한 개혁의지

의원연금 역시 문제가 되고 있는 특권 중 하나다. 과거 국회의원들은 단 하루만 국회의원을 해도 만 65세가 넘으면 무조건 매월 120만원의 연금을 받아왔다. 하지만 이것이 과도한 특혜라는 비난 여론이 거세지자 19대 국회의원부터는 연금을 받지 못하게 했고, 수혜대상도 큰 폭으로 줄였다. 하지만 여전히 과도한 특혜라는 지적이 많다. 현재도 국회의원 연금으로 들어가는 세금이 연간 60억원이나 된다.

당초 국회의원 연금은 연금 대상자의 재산규모와 상관없이 일괄적으로 지급해왔지만 올해부터는 평균 자산이 18억5000만원 이하인 사람만 수급 받도록 조정했다. 하지만 이는 서울시 가구당 평균 순자산 3억6600만원과 비교하면 5배나 많은 금액이다.

새정치 열풍을 타고 특권 내려놓기와 혁신을 외치던 국회의원들은 이번 국회에서 개혁안을 33건이나 발의했으나 가결된 것은 단 4건뿐인 것으로 알려졌다. 과연 스스로 혁신할 의지가 있는 것인지 의심케 하는 대목이다. 이 같은 주장이 제기된 후 국회는 조목조목 반박했지만 사실 자유경제원 측의 주장과 대동소이한 내용이 많았다. 국회는 변명을 하기보단 국민들과 눈높이를 맞추려는 노력이 필요한 때라는 지적이다.

 

<mi737@ilyosisa.co.kr>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비자금이 자랑이라고···노소영 카드에 국민들 화났다

비자금이 자랑이라고···노소영 카드에 국민들 화났다

[일요시사 취재1팀] 김성민 기자 =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노소영 전 아트센터 나비 관장의 이혼소송이 노태우정권의 비자금 논란으로 번졌다. 김영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노태우 전 대통령의 비자금 의혹을 조사해 과세해달라’고 강민수 국세청장에게 요구하기도 했다. 수십년간 숨겨온 노씨 일가의 ‘안방 비자금’ 의혹이 사실로 드러난 것이다. 노소영 전 나비 관장은 ‘노태우 비자금이 SK그룹을 성장시켰고, 늘어난 자산의 상당 부분을 나눠야 한다’는 취지로 주장해 왔다. 두 사람의 이혼소송 항소심을 맡은 재판부도 노 전 대통령의 비자금 가운데 300억원이 SK에 유입된 것으로 인정했다. 문제는 300억원의 출처와 성격이다. 자기 돈도 아니면서··· 노 전 관장 측은 항소심서 아버지인 노 전 대통령의 아내 김옥숙 여사가 1998~1999년 사이 작성한 비자금 메모를 재판부에 제출했다. 해당 메모에는 ‘선경(SK 전신) 300억원’이라는 내용이 적혀 있다. 노 전 관장 측은 최태원 회장의 아버지인 최종현 전 선경 회장에게 비자금 300억원을 주고받은 것이라며, 지난 1991년 선경건설 명의의 50억원짜리 약속어음 6장에 대한 사진 등도 제출했다. 일각에선 노 전 대통령의 ‘폭력적 불법 비자금’이 노 전 관장에 의해 소환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 재계 인사는 “불법 비자금에 대해 국민에게 사과조차 없이 자랑스럽게 노태우 비자금을 언급하는 노 전 관장은 ‘그 아버지에 그 딸’이라고 인식되기에 충분했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노 전 대통령은 퇴임할 때도 ‘재산이 5억’이라며 ‘그 정도면 족하다’고 먼저 얘기했던 사람이다. 실제론 임기 동안 선경에게 불법 비자금을 거둬들이는 이중적인 행태를 보였으니 비판받아야 할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최근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대위원장과 ‘SK 2인자’ 손길승 명예회장도 같은 취지로 주장한 바 있다. 먼저 노태우정부 시절 경제수석 등을 지낸 김 전 비대위원장은 “노태우 전 대통령 측에서 퇴임 이후에도 이게 과연 제대로 줄 것이냐 이런 부분에 대한 의문이 있어 이를 확약하는 증표로서 일단 뭘 좀 주라고 해서 어음 자체를 준 것”이라고 부연했다. 실제 어음 발행일은 노 전 대통령의 퇴임 이틀 전인 지난 1992년 12월로 알려졌다. 선경건설이 당시 발행한 50억짜리 약속어음 실물 4장은 1995년 노 전 대통령에 대한 비자금 수사와 재판에선 드러나지 않았다가 이번 이혼소송 과정서 처음으로 등장한 것이다. 일각선 “죽은 아버지 부관참시 꼴” 지적 국민들은 “그 아버지에 그 딸” 비웃음도 이현종 <문화일보> 논설위원과 정혁진 변호사도 지난달 9일 방송된 <어벤저스 전략회의>서 김 여사가 보관해 온 선경건설 명의의 약속어음은 노 전 대통령의 노후 자금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항소심 재판부는 노 전 대통령의 ‘후광’이나 ‘비자금’이 SK의 성장에 일정 부분 영향을 미쳤다고 판결했다. 노 전 관장 측 역시 같은 맥락의 주장이었다. 재판부는 노 전 관장 측의 기여도가 크다고 보고, 최 회장이 1조3808억원을 지급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이에 최 회장 측은 항소심 판결에 즉각 반발했고, 최근 상고심 시작에 앞서 500여쪽에 달하는 상고이유서를 대법원에 제출했다. 상고이유서에 따르면 다양한 쟁점 가운데 핵심은 노 전 대통령의 비자금 및 후광 등은 SK그룹의 성장 과정에 오히려 손해가 됐다는 주장이다. 즉, SK가 국내 재계 2위까지 발돋움할 수 있던 배경에 노 전 관장 측의 큰 도움이 없어 재산분할 금액이 축소돼야 한다는 얘기다. 항소심 재판부는 이 자금이 당시 태평양증권(현 SK증권) 인수 등에 쓰였다고 판단했으나, ‘SK 2인자’ 손길승 명예회장은 반박했다. 되로 주고 말로 받다 손 명예회장은 “노 전 대통령의 비자금 심부름을 하던 이원조 경제비서관이 노 전 대통령 퇴임 이후 지낼 거처와 생활비 등을 요구해 생활비 명목으로 매달 전달했다”며 “정권 말이 되니 퇴임 후에도 지속 제공하겠다는 증표를 달라고 요구해 어음으로 준 것”이라고 밝혔다. 노 전 관장 측의 “300억원이 태평양증권 인수 자금 등으로 쓰여 SK 성장에 기여했다”는 주장에 전면 반박한 것이다. 그러면서 재판 과정서 SK 측은 300억원을 노 전 대통령 측으로부터 받은 적이 없고, 퇴임 후 그에 상당하는 돈을 노 전 대통령에게 주기로 약속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노 전 관장 측이 제기한 노 전 대통령의 비자금 의혹은 은닉재산마저 들춰냈다. 노 전 대통령이 재임 시절 조성했다가 추징된 2628억원과 별도로 부인 김 여사가 관리해 온 드러나지 않은 돈이 있다는 ‘안방 비자금’ 의혹이다. 이혼소송서 제출한 904억원의 내역이 적힌 ‘김옥숙 메모’ 외에 노 전 대통령 일가서 또 다른 자금흐름이 포착된 것이다. 먼저, 노 전 대통령의 아들 재헌씨가 원장(이사장)을 맡고 있는 동아시아문화센터에 지난 2016년부터 2021년까지 김 여사 명의로 출연금 147억원이 입금됐다. 김 여사는 지난 2016년과 2017년 각각 현금 10억원, 2018년 예적금 12억원, 2020년 예적금 95억원, 2021년 예적금 20억원을 출연했다. 특히 아들 재헌씨가 원장으로 취임한 지난 2020년 출연금 규모(95억원)가 두드러진다. 재헌씨는 2019년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참배하는 등 부친을 대신해 사죄 의사를 밝힌 바 있다. 노 전 대통령의 병세로 재헌씨가 대외 활동에 나선 시점과 자금 출연 시점이 맞물린다. 동아시아문화센터는 지난 2012년 설립된 한중문화센터서 시작된 재단으로 동아시아국가 상호 간 전략문화 협력과 청년 교류를 주요 사업으로 내세웠다. 하지만, 실제론 북방정책 평가사업 등 노 전 대통령 재임 시절 정책 기념사업이 대부분인 사실상의 노씨 일가 재단에 불과하다. 또 다른 ‘안방 비자금’ 포착 김옥숙 여사 ‘돈세탁’ 의혹 법인결산 공시서 지난 2021년 기준 총 사업비용 3억5000만원 중 공익목적 사업비로 분류한 2억6000여만원의 쓰임새도 눈길을 끈다. 이는 노 전 대통령 치적으로 평가받는 한중수교 30주년 기념사업과 정치적 기반이었던 대구지역 학생 장학금 등 ‘노태우 기념’ 용도로 쓰였다. 센터 자산도 대부분 김 여사의 출연금으로 이뤄졌다. 지난 2021년 기준 총 자산가액 153억원 가운데 그의 출연금(147억원)이 96%에 달한다. 재단이 지출하는 연간 사업비용은 김 여사 기부금의 이자 수준인 1~2억원 수준에 불과하다는 결론이다. 지난해 기준 연간 총사업비용은 1억9000만원이고 이 중 공익목적 사업은 5000여만원이다. 2022년도에는 총 2억4700만원 중의 사업수행 비용 중 공익목적은 1억3000만원이다. 사무실 주소는 노 전 대통령이 살았던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건물이다. 이 건물은 노 전 대통령 별세 이후 부인인 김 여사가 상속받았다. 법조계에서는 김 여사가 5차례에 걸쳐 출연한 거액의 자금 출처를 두고 의혹이 나온다. 김 여사가 출처 불문의 거액과 노 전 대통령의 집권 시절 조성한 비자금을 아들이 운영하는 재단에 출연하는 방식으로 ‘돈세탁’을 한 게 아니냐는 것이다. 김 여사는 280여억원을 미납 중이던 2010년, 모교인 경북여고에 5000만원을 기부해 사회적 지탄을 받은 바 있다. 김 여사가 만약 비자금으로 아들이 운영하는 재단에 기부했다면 정당성과 절차 모두 문제될 여지가 있다. 특히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규칙에 따른 출연자 명세서에 이사장인 노재헌 원장과 기부자인 김 여사의 관계에는 모자지간임에도 ‘해당없음’으로 기재됐다. 뻔뻔히 꺼내다 이는 과세당국의 눈을 피하기 위한 것이 아닌지 조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김 여사가 영부인이던 시절 청와대서 대기업 총수 부인이나 여성 기업인들과 수시로 면담하면서 현금을 받았다는 의혹은 전두환·노태우정부 비자금 수사가 한창이던 1995년에도 제기됐다. 당시 민주당 비자금 진상조사위원장이었던 고 강창성 의원은 국회서 “김옥숙 여사 친·인척이 관리하는 것은 전혀 노출되지 않는데 이 문제까지 이번에 조사돼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노씨 일가는 4600억원대 비자금을 조성한 혐의로 지난 1997년 4월 대법원서 징역 17년에 추징금 2628억9600만원을 선고받았다. 지난 2013년 이를 완납했으며, 이 과정서 추징금 낼 돈이 없다며 노 전 대통령의 동생인 노재우씨와 아들 재헌씨의 처가인 신동방 측과도 소송전을 벌였다. 법조계 한 인사는 “노 전 대통령 일가가 2013년 추징금을 완납하는 과정서 돈이 없다면서 노 전 대통령의 동생 재우씨와 아들 재헌씨의 장인이었던 신명수 전 신동방그룹 회장과 재산 환수 소송까지 벌였던 것을 되짚어보면 재단 출연금의 출처가 더 석연치 않다”며 “연간 사업비가 2억~3억원 수준인 재단에 100억원이 넘는 돈을 출연한 것 자체가 출처가 불명확한 자금을 편법 증여해 세탁하는 용도로 활용한 게 아닌가 하는 합리적인 의심이 드는 대목”이라고 말했다. 김 여사가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규칙에 따른 출연자 명세서에 ‘이사장(원장)과의 관계’에 대해 ‘해당없음’이라고 적시한 것을 두고도 과세당국의 눈을 피하기 위한 것이 아닌지 조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차남 노재헌에 흘러간 수백억원? 정치권 “철저히 조사해 환수해야” 노씨 일가의 은닉재산 논란에 대한 국세청 조사가 필요하다는 지적은 국회서도 잇따른다. 국세청은 상속세 등을 부과할 수 있는지 등을 두고 검토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진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영환 의원은 지난달 27일 기재위 전체회의서 노 전 대통령의 불법 정치자금에 대해 과세해달라는 내용의 탈세 제보서를 강민수 국세청장에게 전달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의 이혼 과정서 김 여사가 작성한 비자금 메모가 증거로 인용됐다는 점을 토대로 비자금에 대해 과세해달라고 요청했다. 이날 김 의원은 “김 여사의 메모에 기록된 904억원 상당의 불법 정치자금은 노 전 대통령이 오랜 기간 은닉하다가 가족들에게 사전 증여했거나, 사망 후 상속된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또 이혼소송서 쟁점이 된 300억원은 그 일부로, 상속세 부과 제척 기간이 남아 있어 과세에도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번 기회에 이혼소송서 드러난 300억원뿐 아니라 메모 속 기록된 채권, 금고 등에 숨겨둔 904억원의 은닉재산을 철저히 조사해 반드시 환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법조계서의 비판도 잇따르고 있다. 한 법조계 인사는 “김 여사가 만약 부정 축적한 ‘안방 비자금’을 숨겨왔다가 아들이 운영하는 재단에 출연한 것이라면 과세 여부 문제를 넘어 법적 정당성과 안정성 측면서 모두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법조계에선 재판부가 재산분할과 위자료 등을 포함해 ‘1조3803억원과 20억원을 노 전 관장에게 주라’고 판결한 것을 두고 법무법인 평안 이상원 변호사의 역할이 컸다고 봤다. 이 변호사는 노태우정권서 황태자로 불렸고 노태우 대통령 부인인 김 여사의 이종사촌 동생인 박철언 전 장관의 사위다. 히든카드가 국회 이슈로 박 전 장관은 노태우정권 당시 정무 장관, 체육청소년부 장관을 지냈다. 이상원 변호사는 ‘성완종 리스트’ 사건에 연루된 이완구 전 국무총리를 변호해 무죄 판결을 받아냈다. 이후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사건에 연루된 김기춘 전 대통령 비서실장, 사법 행정권 남용 사태로 재판을 받은 양승태 전 대법원장 1심 변호인단에도 이름을 올렸다. 노 전 관장이 불법 비자금임을 알면서도 당당히 300억 카드를 꺼낼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해 ‘믿는 구석이 있었다’는 지적이다. <smk1@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