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재료 이력서> (3)깻잎

“쓰임새는 오곡 중에서 가장 유익”

오이, 쑥갓, 가지… 소박한 우리네 밥상의 주인공이자 <식재료 이력서>의 주역들이다. 심심한 맛에 투박한 외모를 가진 이들에게 무슨 이력이 있다는 것일까. 여러 방면의 책을 집필하고 칼럼을 기고해 온 황천우 작가의 남다른 호기심으로 탄생한 작품. ‘사람들이 식품을 그저 맛으로만 먹게 하지 말고 각 식품들의 이면을 들춰내 이야깃거리를 만들어 나름 의미를 주자’는 작가의 발상. 작가는 이 작품으로 인해 인간이 식품과의 인연을 소중하게 생각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 깨 ⓒpixabay

고려 제 17대 임금인 인종 시절 척준경이 이자겸의 난을 척결한 이후 <고려사절요> 기록이다.

왕이 일찍이 깨 다섯 되를 얻은 꿈을 꾸었다.

이를 척준경에게 말하니 준경이 대답하기를 “깨는 한자로 임(荏)이요, 임은 임(任) 자와 음이 같으니, 임(任) 자 성을 가진 후비를 맞을 징조요, 그 수가 다섯이란 것은 다섯 아들을 둘 상서입니다.”

임(任) 자 성

척준경은 이자겸과 함께 인종을 폐위하고자 대궐에 침입했다 왕의 권유로 뜻을 바꿔 이자겸을 잡아 귀양 보내고 공신이 된 인물이다.


간략하게 이야기하자면 역사상으로 그저 그런 인물이라는 말이다.

그런데 그 척준경의 해몽이 후일 적중한다. 인종은 이자겸의 두 딸을 폐위시킨 이후 곧바로 중서령(中書令) 임원후(任元厚)의 딸을 비(공예왕후, 恭睿王后)로 맞이하고 그녀와의 사이에서 다섯 아들을 낳게 된다.

또 다섯 아들 중에 세 아들이 모두 왕위에 오르니 (첫째 아들 의종, 셋째 아들 명종, 다섯째 아들 신종) 척준경의 해몽에 감탄을 보내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척준경은 이자겸을 몰아낸 바로 이듬해에 정지상의 탄핵을 받고 그 역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된다.

여하튼 깨는 참깨와 들깨 모두를 총칭하는 단어다.

그런데 참깨는 참깨 과에 속하고 들깨는 꿀풀 과에 속한다.

아울러 식용으로 사용하는 깻잎은 들깨의 잎이라 먼저 들깨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조선 말기 학자이며 독립운동가로 활약했던 이만도(李晩燾, 1842∼1910)의 작품 들깨(荏子, 임자)를 감상해보자. 

一分畊貝畝(일분경패묘) 비옥한 밭 한 귀퉁이에 경작하여 
三足晒墻堧(삼족쇄장연) 세 갈래로 담장 가까이 말렸네
謹避村鷄啄(근피촌계탁) 마을 닭이 쪼아먹지 못하게 하고
還嫌谷鳥咽(환혐곡조연) 골짝 새가 삼키는 걸 꺼려했네
日熏防倒落(일훈방도락) 태양 비칠 때 넘어지지 않게 하고 
風摵護旁顚(풍색호방전) 바람 불 때 엎어지지 않게 하였네
積以終年力(적이종년력) 한해 내내 힘을 다하여 쌓아
照來不夜天(조래불야천) 등불 켜 밝은 세상 마주하네

들깨는 앞서 등장한 대로 한자로 荏(임)인바 깨는 荏子 그리고 그 깨의 잎을 荏葉(임엽)으로 표기한다. 

필자가 어린 시절 집을 나서면 여기저기서 깨를 볼 수 있었고 우리 집에서도 밭농사의 일환으로 깨를 재배했었다.

그런데 아무리 기억을 짜내보아도 깻잎을 식용했던 기억은 전무하다.

그저 산과 들판에서 놀다 뱀에 물리면 깻잎을 으깨어 즙을 내어 먹거나 즙을 내고 난 찌꺼기를 물린 곳에 바르는 정도였다. 

물론 과거에도 깻잎을 식용했다는 기록은 존재하지 않는데 그 깻잎이 어느 순간 식탁에 오르기 시작했고 급기야 각광받는 음식으로 거듭나고 있다.

이를 살피면 불현듯 돼지감자가 떠오른다. 

어린 시절 우리 집 뒤꼍에 돼지감자가 자생하고 있었고, 급기야 호기심이 발동해 그 뿌리 즉 돼지감자를 입에 넣고 깨문 즉시 뱉어버렸었다.

이후 돼지감자는 돼지들이 먹는 감자 정도로 생각했는데 어느 순간 귀한 음식으로 자리매김했다.

깻잎 역시 돼지감자처럼 현대에 들어 효능이 밝혀지면서 친숙해진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한다.

참고로 깻잎을 식용하는 나라는 일본과 우리나라밖에 없고 특히 생깻잎을 먹는 나라는 우리나라가 유일무이하다는 사실을 밝힌다.


깨와 관련해 이응희가 작품을 남겼다. 감상해보자. 

오장을 윤택하게 하고 머리털을 부드럽게
등잔 기름으로 밤을 밝히고 냄새제거까지

荏(임) 깨

田家種百穀(전가종백곡) 농가에서 여러 곡식 심는데
此物寧不營(차물녕불영) 이 곡식 어찌 심지 않겠는가
細玉盈箱穫(세옥영상확) 가는 옥 상자에 가득하고
香油滿甕盛(향유만옹성) 향기로운 기름 가득 담았네
三蟲能去盡(삼충능거진) 삼충 거의 다 제거할 수 있어
五內得滋榮(오내득자영) 오장 모두 번영할 수 있네
擧世無君澤(거세무군택) 세상에 깨 혜택 없으면
何由保此生(하유보차생) 어찌 이내 삶 보전하리오

水荏(수임) 들깨

副居眞荏貴(부거진임귀) 참깨 다음으로 귀하지만 
名幷色無同(명병색무동) 이름과 색 같지 않네
粉粟盈金朶(분속영금타) 좁쌀 가루 금주머니 가득하고
玄珠滿綠縫(현주만록봉) 검은 구슬 초록 자루에 가득하네
澤及回文婦(택급회문부) 혜택은 회문 쓴 여인에게 미쳤고 
功多點易翁(공다점역옹) 공로는 주역 점찍은 노인에게 많네 
明光能繼晷(명광능계귀) 밝은 빛이 밤을 낯처럼 밝히니
嘉穀未爭雄(가곡미쟁웅) 좋은 곡식들 이와 다툴 게 없네


*澤及回文婦(택급회문부) : 전진(前秦) 때 두도(竇滔)가 진주 자사(秦州刺史)가 돼 멀리 유사(流沙)로 가게 됐다.

이에 그의 아내 소씨가 그리운 마음을 담아, 전후좌우 어디로 읽어도 문장이 되는 〈회문선도시(回文旋圖詩)〉를 지어 비단에 수놓아 보냈다고 한다.

즉 소씨가 〈회문선도시〉를 쓸 때 들깨 기름 등잔 아래서 수를 놓았다는 뜻이다.

功多點易翁(공다점역옹) : 당나라 때 신선을 매우 좋아했던 고변(高騈)의 〈보허사(步虛詞)〉에 ‘청계산 도사를 사람들은 알지 못하니, 하늘을 오르내리는 학 한 마리뿐이로다. 동굴 문 깊이 잠기고 푸른 창은 춥기만 한데, 이슬방울로 주묵 갈아 주역에 권점 찍노라’고 했다.

주역에 권점 찍을 때 등잔 기름으로 들깨 기름을 썼다는 뜻이다.

암내 제거

아울러 이응희는 들깨에 대해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

오장을 윤택하게 하고 삼충을 죽이고 머리털을 부드럽게 하고 음식맛을 보태는 것은 비록 참깨에 비길 바가 아니다.

하나 담기(痰氣)를 가라앉히고 체증을 없애고 수도(水道)를 틔우고 안색을 좋게 하는 효능은 소자(蘇子, 차조기)와 같으며, 등잔 기름으로 밤을 밝히는 공효와 기름으로 방습하는 쓰임새는 실로 오곡 중에서 가장 유익하다.

그 잎은 9월에 따서 응달에 말려놓았다가 달여서 복용하면 몸 냄새를 없애고 호취(狐臭, 겨드랑이에서 나는 노린내)를 감추는 효능이 있다고 한다. 

이응희 역시 깻잎의 약용에 대해 언급했는데, 암내(겨드랑이서 나는 고약한 냄새)가 심한 사람들은 새겨둘만하다.  
 

<계속>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버려진 북파공작원, HID 요원들 비스토리

[단독] 버려진 북파공작원, HID 요원들 비스토리

[일요시사 취재1팀] 김성민 기자·오혁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12·3 계엄 사태와 관련해 HID(북파공작원, Headquarters of Intelligence Detachment)가 언급되고 있다. 국군정보사령부 소속인 HID가 비상계엄 선포 전부터 관여했다는 의혹 때문이다. 일각에선 그림자처럼 살아온 HID 요원들이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 등 수뇌부의 정치적 일탈행위로 인해 불명예를 안게 됐다고 토로했다. 앞서 노상원은 육군사관학교 출신을 중심으로 꾸린 내란 사조직 ‘정보사령부 수사2단’의 수장 노릇을 했다. 이렇게 조성된 ‘육사 카르텔’은 12·3 비상계엄 선포 석 달 전 진급을 미끼로 조직원 포섭을 시작했다. “시키면 다 하고, 힘 좀 쓰는 애들”이라는 기준 아래에 HID 요원도 합류시켰다. ‘살인 병기’로 훈련된 HID의 전술적 판단력은 세계적 수준으로 평가되기 때문이다. 그들은 누구인가 반면, 정부는 그들의 존재를 무시했고, 보상조차 까다롭게 했다. 오죽하면 스스로 “(정부가) 키워서 잡아먹는 돼지 같다”고 평가했을까? 체포된 윤 대통령의 자필 편지처럼 ‘계엄의 형식을 빌린 대국민 호소’였다면 HID가 왜 필요했는지 의문이다. <일요시사>가 만난 정보사령부 고위 간부 출신 제보자는 “상명하복이 원칙이니 HID 요원들도 따를 수밖에 없었겠지만, 이번 사태는 문상호 정보사령관이 투입 명령에 충분히 불복할 수 있었다고 본다”며 “국방부에 책잡힌 몇몇 사건의 영향도 있고, 문 사령관이 진급이라는 미끼를 물었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국군정보사령부(이하 정보사)는 가장 진급이 어려운 곳이다. 현재까지도 소장 직급인 정보사의 경우 사령관 직무배제 및 전직 정보사 여단장 전출 등 각종 이슈로 인해 ‘원스타’ 계급장을 단 장군조차 찾아보기 어려운 상황인 것으로 전해진다. 정보사의 사령관은 소장이지만 지휘부는 군단 편제와 같다. 이유는 김영삼 전 대통령 취임 직후 정보사령관의 계급을 소장으로 낮췄기 때문이다. 단, 기무사는 1년 뒤 중장으로 다시 사령관 계급을 올렸다. 실제로 HID 팀원들도 자신의 계급을 보안상 알 수 없으며, 사실상 최종 계급이 원스타다. 또, 비밀 조직 특성상 역할이 도드라진 적이 없다. 1980년 12·12 사태 때도 정보사는 주요 가담 세력이 아니었다. 그런 정보사가 계엄에 관여한 것은 이례적이다. HID는 북한에 침투해 고위층을 암살하고 파괴 공작을 수행하는 특수부대다. 국내 민간인을 상대로 HID를 투입했다는 것은 반대 세력에 대한 윤 대통령의 적대감을 드러내기에 충분하다. 특히, 12·3 계엄령 작전에 배치된 HID 요원들은 근접 전투 능력이 뛰어난 이들로 선발됐다. 윤 대통령이 계엄령을 선포한 날 HID 요원 5명은 서울 외곽인 판교에 배치됐고, 나머지 35명은 서울 시내 곳곳에 배치됐다. 지금까지 예우와 보상 문제 해소되지 않아 “다쳐도 병원 못 가”···상이 등급 ‘별 따기’ 일각에선 투입 목적이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직원 체포나 거짓 민란 기획 등이라는 의혹이 제기됐다. 김병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매체를 통해 “(작전에)깊숙이 관여돼있던 인원의 양심 고백을 들었다”며 “선관위 과장 등 핵심 실무자 30명을 무력 제압해 케이블타이로 손·발목을 묶고 복면을 씌워 B-1 벙커로 데려오라는 임무였다”고 말했다. 12·3 내란의 우두머리는 체포된 윤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으로 드러났다. 특히 김용현은 계엄 이틀 전인 12월1일부터 곽종근 특전사령관 등에게 전화를 걸어 전체적으로 지시를 점검했다고 한다. 정보사가 국방부에 장악된 배경도 의아하다. 정보사는 애초 국방부가 아닌 합동참모본부 정보본부장의 지휘·통제를 받는 조직이다. 그러나 문 사령관은 “장관 지시의 보안 유지 차원서 본부장에게 보고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공식 지휘를 건너뛰고 국방부 장관과 직접 소통했다는 의미다. 계엄 수개월 전 정보사를 곤란하게 만든 두 사건 때문에 국방부를 틀어쥘 수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7월 정보사 군무원이 블랙요원 수십명의 신상을 중국으로 유출한 사건과 정보사 수뇌부끼리 감정싸움이 벌어져 고소전으로 번진 사건이다.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은 두 사건을 핑계 삼아 정보사를 장악하려 했다. 같은 해 8월, 국방부 장관 부임 직후 정보사를 ‘해체’ 수준으로 개편한다고 예고하더니 정보사를 국방부 직속 부서인 ‘국방정보실’로 옮기는 안을 검토했다. 다만 그해 10월 언론 보도로 계획이 유출되자 실행에 옮기진 않았다. 이후 김용현은 OB(퇴직자) 활용으로 방향을 튼 것으로 추정된다. 박근혜 전 대통령 경호차장 근무 경험이 있는 노상원을 연결고리로 활용한 것이다. 같은 해 12월1일 노상원은 정모 대령 등에게 ‘진급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취지로 인맥을 과시하며 협조를 요구했다고 한다. 권력의 그림자 1990년대까지만 해도 정부는 HID의 존재 자체를 인정하지 않았다. 이들은 한국전쟁 중인 1951년부터 휴전 후 1972년 7·4 남북공동성명 발표 때까지 북한 지역에 파견돼 활동한 무장첩보원이다. 한국전쟁 당시 북한의 후방을 교란할 목적으로 양성됐으며 적 생포 및 사살, 적군 진지 주요시설물 파괴, 적지서 각종 테러를 통한 사회 혼란 야기, 첩보수집, 첩보망 구축 등이 주요 임무였다. HID는 북파공작원의 대명사로 통한다. 과거 북파 작전을 수행했던 부대는 여럿 존재했다. HID의 전신은 1948년 1월 미 군정청 국방총사령부 정보과다. 이후 조선경비대 총사령부 정보국 안에 첩보 수집을 담당하는 공작과가 신설됐는데, 이 부서가 영문자 HID로 표기됐다. 육군첩보부대가 이 같은 명칭을 사용한 기간은 1950년 7월부터 1961년 7월까지다. 이후 HID라는 명칭이 육군정보부대(AIU: Army Intelligence Unit)로 변경됐다. HID는 현재 정보사령부 산하서 특수작전 임무를 수행하는 육상특임대인 ‘설악개발단’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과거 정부는 1968년 1·21 사태 이후 응징보복부대로 설악개발단을 비롯한 해군의 UDU 등 특수부대를 여럿 창설했다. 1972년 AIU는 육군정보사령부(AIC: Army Intelligence Command)로 확대됐고, 1990년 11월 육군과 해군 등의 정보부대가 합쳐져 오늘날의 국군정보사령부(DIC: Defence Intelligence Command)가 만들어졌다. 그러다 1972년 7·4 남북공동성명 등 화해 분위기를 타고 폐쇄와 통폐합을 거치며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지독한 후유증 HID 요원들은 조선인민군 복장을 위장 착용하고 보급 지원이 불가능한 상태서 생식, 칡뿌리 등을 먹어가며 버티기도 했다. 어떤 요원은 “훈련 당시 헬기서 속옷만 입은 채 숲에 던져진 적도 있다. 지금 생각해보면 추억이지만, 그때는 살기 위해 죽어라 (훈련)했다”며 “HID 출신들은 대부분 강제 징집된 사람들이다. 나도 1970년대 후반에 특전사에 지원했지만, ‘제대하면 집도 주고 억대 연봉을 주고 특별 대우해주는 부대가 있다’는 말에 따라간 곳이 설악개발단이었다”며 웃으며 말했다. 그러면서 “당시 HID 훈련 기간은 60개월 이상이었고, 속초에 갇혀 생활했다. 보안상 휴가도, 병원도 보내주지 않았다”며 “임무에는 3인 1조로 투입됐지만, 각각 임무 내용이 다른 적도 있어 사실상 개인적으로 움직였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임무 수행 중 다치면 자결이나 자폭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작전에 투입돼 살아온 경우도 극히 드물었다. 북파공작원 보상을 위해 정부가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1951년 HID가 창설된 뒤 1994년까지 양성한 HID는 1만3000명이며, 임무 수행 중 7987명이 사망·실종됐다. HID에 30년 이상 몸담았던 고위 관계자는 “2000년대 들어서야 요원을 관리하는 공작팀장을 잘 만나면 훈련 중 다쳐도 조용히 병원에 보내줬지만, 예전엔 신분 노출 우려로 병원에 갈 수 없었다”고 토로했다. 제보자 본인도 훈련 중 발목과 허리를 다쳤지만, 국군병원에 갈 수 없어 2010년까지 약으로 버텼다고 주장했다. 수술을 받고 제대해야 하나 고민했지만, 생계를 이어가야 했기에 참아야 했다. 처참히 짓밟히고 무시당한 흑역사 사령관 진급 때문에···불명예 투입 이후 그는 목과 허리디스크에 철심 10여개를 박아 넣는 수술을 받고 2015년경 제대했으나, 상이 등급을 인정받지 못했다. 부상 당시 병원 기록이 없기 때문이다. 이후 보훈처에 “북파공작원 특성상 병원에 가지 못했다”고 주장했음에도 상이 등급 외 판정을 받은 국가유공자로 전역했다. 통상 척추부상과 관련해 추상적인 용어인 경미한 기능장애 기준을 구체화해 ‘엑스레이 검사 등에서 명백한 기형’이 있거나, ‘추체 높이 10% 이상 30% 미만의 압박골절’로 통증을 동반하는 경우 7급을 인정하게 된다. HID 부대원들의 역사와 훈련 과정은 듣기만 해도 일반인이 견디기 힘든 삶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묵묵히 임무를 수행하는 것은 ‘내가 죽더라도 국가와 국민을 위한 것’이라는 가치와 명예를 믿기 때문이다. 실제 군인들이 출연하는 예능프로그램 <강철부대3>서 압도적인 기량과 팀워크를 선보이며 우승한 HID 출신 강민호 팀장도 ‘진짜 영광은 현역분들께’라며 겸손한 모습을 보였다. 한 HID 요원은 인터뷰서 계엄 동원 및 임무 지시에 대한 수행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자기 군번도 모르고 그냥 훈련만 받다가 나중에 기간이 끝나면 (급여)통장 받고서 집에 가는 시스템”이라며 “계엄 동원 명령을 거부하지 못했을 것 같다. 거기(HID) 인원들은 사회와 아예 단절된 삶을 사는 사람들이기에 뉴스나 신문을 볼 수도 없다”고 말했다. 사실상 이들은 어떤 정치 이념도 갖지 않고, 하달받은 임무 수행에 최선을 다할 뿐이다. 계급도 명예도 만약 국내 정치인 사살 명령이 있었다면 실행할 수 있었을지 묻는 질문에는 “그냥 저 사람 죽이라면 안 죽이겠죠. 그런데 ‘저 사람이 지금 우리나라서 어떤 범죄를 저지르고 있고, 어떤 간첩 활동을 하고 있어’라고 잘 포장했으면 죽였을 수도 있겠지만, 북파공작원들은 그런 거에 조금의 머뭇거림이 없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잘못된 선택(명령)을 내린 분들이 제대로 된 처벌을 받았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HID는 존재 그 자체로도 북한 도발에 대한 억지 전력으로서 의미가 있는 부대다. 취재진이 만난 HID 출신들은 하나같이 “12·3 내란 사태로 반란과 테러에 동원되는 부대라는 오해는 불명예스럽다”고 조심스럽게 말했다. <smk1@ilyosisa.co.kr> <hounder@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진짜 간첩과 싸운 ‘김신조 사건’ 재조명 1968년 1월21일 북한 민족보위성 정찰국 소속 공작원(124군부대) 31명이 박정희 대통령을 암살하기 위해 청와대 습격을 시도했다. 청와대로부터 300m 떨어져 있는 종로구 세검정 고개까지 침투했던 사건이다. 침투한 31명 중 사살 29명, 미확인 1명, 투항 1명(김신조 소위)의 전과를 올렸으며, 이때 유일한 생존자인 김신조의 이름을 따서 ‘김신조 사건’이라고도 한다. 이 사건을 계기로 예비군과 5분대기조, 그리고 육군 3사관학교가 창설됐다. 을지 연습과 유격훈련이 이 사건을 계기로 생겨났고, 육군 방첩대가 국군보안사령부로 개칭하고 조직을 개편했다. 이 사건의 보복을 위해 창설된 4개 부대가 바로 선갑도부대(육군), 장봉도부대(해군), 684부대(공군, 실미도) 마니산 까치부대(해병대)였다. 첩보조직들도 김신조 일당의 침투 이후 이에 대응하고자 보강했으며 이때부터 특수공작부대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시작했다. 전략 목표·전술 목표·훈련 계획 등을 정하고 조직도 개편했는데 설악개발단 창설기획자인 이춘국 예비역 대령에 따르면, 선갑도부대가 803대로 변경됐고, HID 기능을 이어받은 설악개발단이 909대로 확대 편성됐다. 북한에 대한 첩보를 수집하기 위해 많은 공작원의 희생이 있었다. 이들은 비밀스러운 공작의 세계만큼이나 그들이 하는 일들에 대해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했다. 2000년 하반기부터 북파공작원에 대한 보도가 나오면서 말로만 듣던 북파공작원의 실체가 드러나기 시작했다. <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