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천안 유명 베이커리 ‘시멘트 빵’ 논란

2025.04.08 16:18:09 호수 1526호

백화점 들어간 ‘분진 덩어리’

[일요시사 취재1팀] 안예리 기자 = 시멘트 가루가 날리는 공사 현장 한복판서 구워진 빵. 천안의 유명 베이커리는 공사 중에도 제빵을 멈추지 않았다. 그곳에서 만든 빵 속엔 유해물질과 오염이 가득했다. 그 빵은 백화점 매장에 진열돼 소비자 입 안으로 들어갔다. A사는 그 유명세를 이용해 진실을 감췄다. 소비자들은 믿었던 달콤함 속에 감춰진 진실을 모른 채, 위험을 삼켰다.



충남 천안의 유명 베이커리 A사가 인테리어 공사 중에도 제빵 작업을 지속해 왔던 사실이 드러났다. 해당 제품들은 시멘트 분진, 금속 가루, 유성 페인트 등 각종 유해물질들이 노출된 환경서 빵이 제조됐다. 

먼지 범벅

해당 사실은 A사 본점의 리모델링 공사를 맡았던 실내건축업체 대표 B씨의 제보를 통해 드러났다. <일요시사>가 만난 B씨는 지난 2월4일부터 3월20일까지 해당 매장의 리모델링 공사를 진행했으며, 이 기간 동안 제빵 작업이 멈추지 않고 계속됐다고 증언했다.

공사 목적은 기존 주방을 확장해 납품 수요를 더 많이 감당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이 과정서 벽체 철거 및 주방 재배치가 진행됐다. 하지만 대대적인 구조 변경 속에서도 제빵이 중단되지 않았고 공사와 제빵 작업이 동시에 진행됐다.

제보에 따르면 공사 현장은 철거와 전기공사, 유성 페인트 칠, 시멘트 샌딩, 금속 절삭 작업 등이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졌다. B씨는 이 과정서 다량의 분진과 유해물질이 공기 중에 퍼졌으나, 제빵 공간과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환경이었다고 설명했다.


공사 과정서 목격한 위생 실태에 대해서도 상세히 설명했다. 제빵 작업은 공사 현장과 가까운 거리서 이뤄졌다. 페인트 분사 작업이 진행되는 가운데 인근서 제빵이 이어졌고, 용접 작업 중 발생하는 금속 분진도 반죽 위로 날아들었다고 주장했다.

B씨는 “작업자와 제빵사 사이의 거리가 1미터도 채 되지 않았다”며 “등을 맞대고 일하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공사장 안에서 바닥 샌딩 작업이 진행될 때는 실내를 가득 메운 분진으로 인해 숨을 쉬기 어려울 정도였다. 인부들조차 도저히 작업을 지속할 수 없다며 자리를 피했다. 그 시간에도 제빵은 멈추지 않았다.

문제는 공사 현장서 발생한 분진은 반죽이 올려진 작업대와 젤리·초콜릿 등 토핑 재료가 담긴 쟁반 위로 쌓였다는 점이다. B씨는 “페인트 작업 중 시너 냄새가 자욱한 공간서 제빵사들이 마스크만 착용한 채 작업을 이어갔고, 금속 절삭 장비서 발생한 가루는 공중에 흩날려 반죽 위로 낙하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바닥에 고인 물과 기름기, 버터 잔여물 등이 뒤섞인 곳에서 밀가루를 섞어 반죽하는 장면도 목격했다. B씨는 “초콜릿, 젤리 등 토핑 재료가 분진 가득한 작업 공간에 방치된 채 사용됐으며, 제빵용 쟁반 위에 먼지가 수북이 쌓인 것도 봤다”고 언급했다.

A사, 내부 공사하면서 제조
분진 털어서 납품? “폐기 안 했다”

B씨는 이렇게 만들어진 오염된 빵 대부분은 폐기되지 않고 단순히 분진을 털어낸 후 납품됐다고 주장했다.

그는 “매장 곳곳에 CCTV가 설치돼있었고, 대표가 직접 직원들에게 폐기 여부를 일일이 보고받는 구조였다”고도 했다. 반죽이나 제품에 분진이 떨어졌더라도, 폐기하려면 대표의 승인이 필요했고, 대부분은 그냥 ‘털어서’ 사용하는 방식이었다는 설명이다.

공사 시작 전 위생 상태도 문제였다. 공사 초기 벽체 철거 작업 중에는 다수의 바퀴벌레가 발견됐다고 한다. B씨는 “벽을 뜯자 수천마리의 바퀴벌레가 쏟아져 나왔다”고 설명하며 “작업자가 놀라 사다리서 떨어질 뻔할 정도였다”고 회상했다.

이후 작업자들은 현장 환경에 강하게 불만을 표하며 “공사장 한복판서 빵을 만드는 경우가 어디 있느냐”고 반발했다. 이에 따라 공사팀 측에서 임시 칸막이를 설치하기도 했으나, 실제 제빵사들이 문을 열어놓은 채로 작업을 지속해 칸막이의 효과는 사실상 없었다. 환기 문제로 문을 열어두면서 칸막이가 사실상 무용지물이 됐던 것.


금속 자재로 칸막이를 제작하는 작업이 이뤄지는 동안에도 제빵은 중단되지 않았다.

이에 B씨는 더 이상 용납될 수 없다는 판단 하에 공사를 중단하고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에 민원을 제기했다. 문제를 처음 인지한 이후 수차례 A사 대표에게 개선을 요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이후 공사를 중단하고 공론화하겠다는 뜻도 전달했다.

일련의 과정서 양측의 갈등이 깊어졌고, 이후 공사는 다른 업체가 진행했다.

식약처는 민원 접수 후 현장 조사에 나섰고, 이후 해당 업체에 대해 과태료 처분이 내려졌다. 하지만 과태료 처분 이후에도 빵 제조가 계속되고 있다는 증언이 이어졌다. B씨는 공사 중단 이후에도 현장 상황을 지켜봤다.

“작업장 바로 옆에서 만들어"
인부들이 보다 못해 제보

지난달 29일 B씨는 공사 현장에 남아있는 짐을 회수하기 위해 현장을 방문하려 했으나 출입을 막아 내부 상황을 직접 확인할 수 없었다. B씨는 “업체 측이 행정처분을 무시하고 제빵을 계속하고 있기 때문에 짐을 못 빼게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B씨는 반죽 위로 시멘트 가루와 금속 분진이 날리는 환경서 제조된 제품이 포장돼 판매됐다고도 목소리 높였다. 진짜 문제는 이 곳이 A사 본점으로 천안 백화점, 불당점, 신부점 등 다른 지점에 제품을 공급하는 중심 제조처라는 점이다.

공사 기간 동안 제빵사들은 새벽 5~6시경 출근해 반죽, 발효, 굽기, 포장까지 진행했고 이렇게 생산된 제품들은 각 지점으로 배송됐다. B씨는 “직접 물어본 결과 본점서 만든 빵이 납품돼 판매된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특히 불당점은 학원가와 가까워 어린 학생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이고, 신부점은 병원가와 터미널이 밀집된 상권에 위치해 있다.


B씨는 “A사 불당점과 신부점은 본점 대표의 친딸이 운영하는 지점”이라며 “그의 딸과 남편은 비위생적으로 생산되는 반죽과 빵을 보고도 모른 척하고 본인의 지점에 버젓이 진열하고 판매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것은 무지에 의한 실수가 아닌 조직적 범죄의 현장임을 증명한다”고 주장했다.

A사는 천안 지역서 상위권 인지도를 가진 베이커리로, 주말에는 하루 수백명이 줄 서서 방문하는 매장으로 알려져 있다. 방문객 중에는 임산부, 아동, 학생 등 취약 계층이 다수 포함돼있어 건강 문제에 대한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다.

B씨는 “문제를 인지하지 못했을 때, 우리 아이도 그 빵을 먹었는데 그걸 생각하니 더 이상 그냥 넘어갈 수 없었다”고 말했다.

오염된 제품

“제과 반죽에도 어린이용 토핑 재료가 분진 위에 방치된 모습이 있어, 부모 입장에선  받아들이기 힘든 수준”이라는 그는 “대표가 자신이 대전 유명 빵집 사장과도 친분이 있다고 말할 정도로 자부심이 강했지만, 실제 운영 방식은 정반대였다”고 비판했다.

한편, A사는 “빵 제조 과정은 있었지만 납품이 된 건 아니다”라며 “이는 악의적인 제보”라고 주장했다.

<imsharp@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